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안사고3

"개인정보 유출돼도 보상? 믿지 마세요!"…10명 중 9명은 보험조차 없다 "SKT 해킹 사태, 그 뒤에 숨은 더 큰 진실"요즘 뉴스 보셨나요? SK텔레콤 해킹 사건으로 많은 사람들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큰 충격을 받았죠.그런데 더 놀라운 건, 이런 일이 반복돼도 우리 대부분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을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왜일까요? 그 해답은 바로 ‘개인정보유출 배상보험’에 있습니다. 이 보험은 말 그대로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을 때 피해자에게 기업이 보상할 수 있도록 준비해 놓는 안전장치인데요. 안타깝게도 이 보험에 가입한 기업은 10곳 중 1곳도 되지 않습니다.심지어 최근에는 의무 가입 대상 기업이 줄어들기까지 했습니다.그럼 우리는 도대체 누구를 믿고, 어떻게 개인정보를 지켜야 할까요?“의무화? 실상은 허술한 제도 속 빈 강정”✅ 가입률 겨우 2~9%… 현실은 사각지대202.. 2025. 5. 20.
티빙과 tvN 유튜브 채널 해킹! 리플로 변신된 채널, 모든 영상 삭제! 해커의 침입으로 채널명과 콘텐츠가 전부 사라진 충격 사건, 당신의 계정도 위험할 수 있다! 2024년 7월 20일 — 국내 인기 OTT 서비스 티빙과 CJ ENM의 드라마 전문 유튜브 채널이 해킹 공격을 당했습니다.오늘 오전 10시경, tvN과 티빙 드라마의 유튜브 채널에 접속하면 채널명이 "리플(ripple)"로 변경되어 있었으며, 기존에 있던 영상들은 모두 사라진 상태입니다.리플은 대표적인 블록체인 기반 송금 프로젝트로, 이번 해킹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고 있습니다.해킹 사건의 전말20일 오전, 티빙과 tvN 드라마 유튜브 채널 사용자들은 갑작스럽게 채널명이 "리플"로 바뀐 것을 확인했습니다.기존의 드라마 콘텐츠는 모두 삭제된 상태였으며, 채널에는 리플 관련 콘텐츠만이 올라와 있었습니다.CJ ENM과 .. 2024. 7. 20.
법원·검찰·경찰 소속 수십 명 개인정보 노출…경찰, 내사 중 최근 법원, 검찰청, 경찰청 소속 공무원들의 개인정보가 온라인에 노출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이 사건은 해커들이 주로 이용하는 해외 사이트에 개인정보가 게시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경찰은 즉각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습니다.이번 블로그에서는 사건의 전말과 경찰의 대응 상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사건의 배경지난 3월, '워페어(Warfare)'라는 계정을 사용하는 인물이 해외 해커 사이트에 법원, 검찰청, 경찰청 소속 40명의 개인정보를 게시했습니다.이 개인정보에는 이름, 내부망 계정, 비밀번호 등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피해자 중에는 고위 법관도 포함되어 있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주요 사실법원, 검찰청, 경찰청 소속 40명의 개인정보 노출고위 법관 포함내부망 계정 및 비밀번호.. 2024.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