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659 CeFi와 DeFi: 블록체인의 두 얼굴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부터 제조업, 건강 관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CeFi와 DeFi라는 두 가지 특별한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CeFi는 중앙 집중화된 금융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되었으며, DeFi는 분산형 금융 시스템의 새로운 형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eFi와 DeFi의 차이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eFi (Centralized Finance, 중앙 집중화된 금융) CeFi는 기존 중앙 집중화된 금융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금융 기관, 예를 들면 은행이나 증권회사와 같은 중개자를 통해 자금을 운용하고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CeFi 시스템은 보안 및 규제와 같은 측면에서 신뢰성을 갖추고 있으며, 대다수의 사람들이.. 2024. 4. 14. Helium Project에 대해 아시나요? 오늘은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에 개인적으로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프로젝트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슬로건은 'People Powered Network'입니다. 슬로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만드는 프로젝트입니다. 즉, 사람들이 핫스팟이 되어 무선인터넷을 제공하고 대가로 토큰을 받는 형태입니다. 최근에는 5G버전이 나와서 속도에 문제는 없지만 초기에는 LoRaWAN을 사용한 네트워크로 속도가 늦어 IOT기기밖에 사용이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하지만 특수한 상황 (전쟁,재난)에서는 그 가치가 발휘될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의 지상버전이 될 수도 있겠네요. 인터넷을 공유하고 HNT라는 토큰으로 보상을 받습니다. Data credit Tokens으로.. 2024. 4. 14. 노드 (Node)란 무엇인가?[출처] 노드 (Node)란 무엇인가? 블록체인은 디지털 거래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강화하는 분산형 시스템입니다. 이때 블록체인의 핵심 요소인 "노드(Node)"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록체인 초보자를 위해 노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블록체인에서 노드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적인 컴퓨터 또는 장치입니다. 블록체인은 분산형 시스템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노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노드는 모두 동일한 블록체인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으며, 상호 작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노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역할을 수행합니다: 1. 데이터 저장 각 노드는 블록체인의 전체 또는 일부 복사본을 저장합니다. 이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모든 노드가 동일한 .. 2024. 4. 14. 한국에서 만든 디센트 ( 협찬 ) 현재까지 Ledger Nano S부터 Ledger Nano X, TRAZOR 하드월렛을 다양하게 써보았습니다. 나의 첫번째 하드월렛은 TRAZOR였습니다. TRAZOR를 아마존닷컴에서 구매했을때 크기도 작고 해서 마음에 들어서 계속 사용하였지만 그 당시 TRAZOR에 해킹 이슈가 있었습니다. 한 유투브가 TRAZOR를 하드웨어적으로 분해하여 개인키를 탈취하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Ledger Nano S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사실 TRAZOR만 분실하지 않는 다면 큰 문제가 되는 이슈는 아니었지만 하드월렛을 사용하는 이유는 개인키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인데 근본적인 목표에 대한 불안감이 엄습해왔던것 같습니다. 나의 두번째 하드월렛인 Ledger Nano S는 프랑스의 보안 없체에서 만든 제품으로 .. 2024. 4. 14. 유동성 풀이란 무엇인가?[출처] 유동성 풀이란 무엇인가? 암호화폐에서 유동성 풀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나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유동성 풀은 거래소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자산을 함께 공유하는 풀입니다. 이를 통해 거래소는 거래를 수행할 때 언제든지 충분한 자산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유동성 풀은 일반적으로 자산을 제공하는 "공급자"와 자산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로 구성됩니다. 공급자는 자신의 자산을 유동성 풀에 예치하고, 이를 통해 수요자가 거래를 할 때 자산을 대여하게 됩니다. 수요자는 유동성 풀에서 자산을 대여하여 거래를 수행한 후, 거래가 완료되면 대여한 자산을 다시 반환합니다. 이러한 유동성 풀은 일반적으로 AMM(Automated Market Maker)라고 불리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AMM은 자동화된 거래 메커니즘으.. 2024. 4. 14. 비트코인 피자데이(5월22일) 2010년 5월 18일 미국 플로리다에 사는 프로그래머 라스츨로 핸예츠(Laszlo Hanyecz)는 비트코인 포럼에 피자 2판을 보내주면 1만 비트코인을 지불하겠다는 거래를 제안했다. 그리고 며칠 후 이 제안에 응한 사람이 등장하면서 실제 거래는 5월 22일에 이뤄졌는데, 응답자는 1만 비트코인을 받고 피자 두 판을 결제해 핸예츠에게 보냈다. 핸예츠는 배달된 피자를 인증샷으로 올렸는데, 여기에는 라지 사이즈 피자 두 판이 식탁 위에 올려져 있고 딸로 추정되는 여자아이가 피자를 잡으려 손을 뻗는 장면도 담겨 있다. 이는 역사상 처음으로 비트코인이 결제수단으로 사용된 사례로 기록되었고, 비트코인 피자데이(5월 22일) 탄생으로 이어졌다. 2024. 4. 14. 이전 1 ··· 597 598 599 600 601 602 603 ··· 6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