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항명죄3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비상계엄 발언 공개…‘계엄 불응하면 항명죄’ 경고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전군 주요 지휘관들에게 군사적 명령을 전달하며 ‘계엄 불응 시 항명죄’라는 엄격한 경고를 했다.이 발언은 법무부에 제출된 윤석열 대통령 공소장을 통해 밝혀졌으며, 김 전 장관의 군내 지휘와 비상계엄 운영의 강력한 태도를 엿볼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2025년 2월 3일,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공소장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밤 10시 28분경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소집하고 "대통령님의 뜻을 받들어 업무명령을 하달한다"며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된 지침을 전달했습니다.그는 군 지휘관들에게 "이 시간 이후의 모든 군사활동은 장관이 책임지며, 만약 명령에 불응하거나 태만한 자가 있다면 항명죄로 다스.. 2025. 2. 3. "항명죄 최고형" 박정훈 대령 징역 3년 구형…해병대 수사단장의 운명은? 대한민국 군 역사에서 항명죄가 이토록 주목받은 적은 드뭅니다.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싸고 수사 과정에서 발생한 논란이 끝내 법정 다툼으로 번지며, 해병대 수사단장이었던 박정훈 대령에게 군검찰이 징역 3년이라는 항명죄 최고형을 구형했습니다.이번 사건은 단순한 법적 판단을 넘어, 군 내부의 지휘 체계와 상명하복 원칙, 그리고 정의 실현에 대한 사회적 논의로 확장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이번 사건의 배경, 법적 쟁점, 그리고 이 사건이 군 문화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 분석합니다.1. 사건의 배경: 채모 상병 순직 사건의 발단채모 상병 순직 사건은 군 내부의 안전 관리 미흡과 부실 대응이 드러난 사건으로, 큰 사회적 공분을 일으켰습니다.이에 따라 해병대는 수사단을 구성해 진상을 규명하려 했으나.. 2024. 11. 21. 윤 대통령과의 통화 관련 발언으로 논란된 신범철 전 차관. 깜짝 폭로 서론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이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 사실을 시인하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번 발언은 작년 8월 2일, 경찰에 넘어간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기록을 되찾아온 날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건은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이 신범철 전 차관에게 "차관도 지금 통화한 게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신 전 차관은 "그건 회수에 관련된 것"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이 발언은 작년 8월, 신 전 차관이 국회에서 이종섭 당시 국방장관이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이 없다고 했던 말을 뒤집는 것이어서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신 전 차관은 작년 8월 2일 윤석열 대통령과 직접 통화한 사.. 2024. 6.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