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슈

"여성혐오 인용했다"며 또 혐오… 이준석, 끝내 반성 없는 ‘언어 폭력’ 논란

by Maccrey 2025. 5. 28.
반응형

국민 앞에 선 지도자의 말, 혐오를 덮는 무기인가?

2025년 대선을 앞둔 마지막 TV토론회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발언이 또다시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여성혐오성 욕설을 인용했을 뿐"이라며 자신은 잘못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국민의 귀에는 그의 말이 ‘여성을 향한 또 다른 혐오’로 들렸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논란 이후에도 "최대한 정제된 표현이었다"고 해명하며 오히려 타 후보들의 침묵과 회피를 문제 삼았습니다.

하지만 과연 ‘인용’이라는 말로 모든 것이 용서될 수 있을까요? 이제 우리는 ‘말의 책임’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 할 시점입니다.


질문인가 혐오인가… 토론장에 퍼진 불편한 단어들

지난 27일, 이준석 후보는 TV토론에서 이재명 후보 가족의 욕설을 언급하며 “이 발언이 여성혐오에 해당하지 않느냐”고 물었습니다. 직접적인 욕설을 토론장에서 재현한 그는, 질문을 빙자해 다시금 그 말을 공적 공간에 흘려보냈습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그건 분명한 여성혐오 발언”이라며 반박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침묵했습니다.

하지만 이준석 후보는 이에 대해 “여성혐오라는 표현을 쓰면서 정작 진영 내 문제에 침묵한다”며 오히려 두 후보를 비판했죠.

 

그는 “지도자라면 불편한 진실 앞에 책임 있는 입장을 내야 한다”며 "왜곡된 성의식에 대해 추상같은 판단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정작 본인의 표현 선택에 대해선 한치의 반성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인용이란 이름의 또 다른 상처, 책임 있는 말이 필요한 때

"정제된 인용이었다"는 이준석 후보의 말은 많은 이들에게 또 하나의 언어 폭력으로 다가왔습니다.

특히 여성혐오를 주제로 삼은 그의 질문은 피해 당사자에게는 또 다른 상처가 되기도 했습니다.

 

말은 무기입니다. 지도자의 말 한 마디는 사회적 분위기를 바꾸고, 약자의 상처를 덧나게도 할 수 있습니다.

‘공론화’라는 명분 뒤에 숨은 혐오 발언의 재생산은, 결코 용납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의도가 질문이라 하더라도, 그 방식이 폭력적이라면 책임을 피할 수 없습니다.

지금 국민이 듣고 싶은 건, 혐오에 대한 진정한 사과와 성찰입니다. 언어가 상처가 아닌 치유가 되는 정치를 우리는 원합니다.


당신을 위한 3줄 요약

  1. 이준석 후보가 TV토론에서 여성혐오성 욕설을 인용하며 논란이 됐습니다.
  2. 그는 “정제된 표현”이라며 반성 없는 태도를 보였고, 오히려 타 후보들을 비판했습니다.
  3. 정치인의 언어가 혐오의 재생산이 되어선 안 된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3 line summary for you

  1. Candidate Lee Jun-seok quoted misogynistic insults during a TV debate, sparking backlash.
  2. He claimed it was a "refined expression," refusing to reflect on the issue.
  3. Public criticism grows over the reproduction of hate speech under the guise of questioning.

째깍째깍...흘러가는 시간 붙잡고 싶다면? 

Study Duck 학습 타이머 즉시 ON! 랭킹 경쟁 참여하고 학습 습관 만들 기회, 놓치지 마세요!

www.studyduck.net

Study Duck팟빵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92491

반응형